대장암, 방구와 어떤 관계: 잘못된 만남

변을 잘 못 보고 방구가 너무 잦거나, 심한 냄새나는 경우, 규칙적으로 내시경을 검사를 하고 있는데도 가끔 항문에서 피가 나오면 가슴이 덜컹합니다. 이런 증상들이 과연 대장암과 관련이 있을까? 대장암과 방구의 연관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대장암과 관계가 있을 ‘잘알못’ 상식


방구와 대장암

방구는 대장암과 직접적인 상관이 없습니다. 일반인은 하루에 15~30회 정도 방구를 뀌게 되는데, 이는 섭취한 음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스가 많이 나오는 음식을 섭취하면 방구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대장암을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대장암 환자도 방구가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대장암 중 특히 항문과 가까운 직장암, S결장암은 장의 구멍을 좁게 만들어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변비가 생기면 변을 시원하게 배출하지 못해 남아 있는 변에서 가스가 나와 방구가 자주 나올 수 있습니다. 방구가 많아졌거나 변비가 생겼다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와 대장암

변비가 오래 지속된다고 해서 대장암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흔히 하루에 한 번 변을 봐야 건강하다고 생각하지만, 2~3일에 한 번 변을 보더라도 정기적으로 보고 다른 증상이 없다면 정상입니다. 변비가 오래 지속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암이 직접적으로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대장암이 생겨 장을 막으면 변비가 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이를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암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변비와 대장암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치질과 대장암

치질이 오래되어도 대장암이 되지는 않습니다. 치질이 오래되면 심한 치질이 될 수 있지만, 대장암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암의 증상 중 하나가 출혈이며, 출혈을 보면 누구나 무서워합니다. 치질로 인한 출혈은 산소가 많은 선홍빛 피가 나오는 반면, 암으로 인한 출혈은 검은색 피와 지저분한 피가 섞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출혈이 계속된다면, 다른 병 때문이라도 반드시 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대장암 발생률

우리나라 남성의 대장암 발생률이 세계 1위로 발표된 적이 있습니다. 이는 과거와 달리 지금은 대장암이 서구화된 식습관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대장암 발생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식습관입니다. 고기 섭취가 많고 섬유질 섭취가 적은 식습관이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비만, 흡연, 운동 부족 등도 대장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유전적인 요소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장암 예방과 치료

대장암은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40대 중반부터 3 ~ 5년에 한 번씩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조기 발견된 대장암은 내시경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빠른 회복을 위해 최소한의 절개로 수술을 진행하며, 입원 기간도 35일 정도로 짧습니다. 전이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이 90%에 이릅니다. 대장암은 예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암 중 하나로, 용종이나 폴립을 제거함으로써 암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조기 암인 경우 내시경으로 제거하면 완치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관리

치료가 끝난 후에도 5~7년 동안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신선한 야채 섭취와 적절한 운동, 금연, 절주 등은 필수적입니다. 우울증이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대장 내시경 검사는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몇 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대장암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자료 : 삼성서울병원 김희철 교수 유튜브 방귀, 변비가 잦을 때 잘못 알고 있던 상식들. 대장암

50대 이혼: 안전한 미래를 위한 주요 고려사항

부부 간의 섹스리스: 불행과 손해인가?

대장암, 방구와 어떤 관계: 잘못된 만남”의 7개의 생각

  1. 핑백: 신용점수 999점까지 빠르게 올리는 꿀팁

  2. 핑백: 복지용구 급여 160만원 활용: 장기요양보험 등급

  3. 핑백: 여름철 다이어트와 운동: 간 건강을 지키는 방법 - mswcontrol

  4. 핑백: 기독교인, 사주팔자를 봐도 되나요?

  5. 핑백: 변비 해소에 약 먹지 말고 이거 해 보세요 - mswcontrol

  6. 핑백: 피그말리온 효과와 스티그마 효과: 자녀 양육에 미치는 긍정적 힘(필독)

  7. 핑백: 대상포진 자가 진단: 예방과 위험요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